티스토리 뷰

반응형

18세기 영국에서 잉여가치 개념이 어떻게 공장제 자본주의로 이어졌는지, 그 과정에서 있었던 일화와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애덤스미스 초상화
애덤스미스

 

산업혁명과 애덤스미스

18세기 영국은 산업혁명의 발원지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농업에서 공업으로의 생산 방식이 전환되면서, 새로운 경제 시스템인 공장제 자본주의가 등장했습니다. 공장제 자본주의는 노동자의 노동력을 착취하여 이윤을 창출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가능했던 데에는 잉여가치 개념의 등장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잉여가치란 노동자가 생산한 가치에서 노동자의 임금을 뺀 값을 말합니다. 공장제 자본주의에서 자본가는 노동자의 노동력을 구매하여, 노동자가 생산한 잉여가치를 착취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합니다.

 

잉여가치 개념은 18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Adam Smith)가 처음으로 정립했습니다. 스미스는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노동이 모든 부의 원천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노동자가 생산한 가치는 노동자의 임금과 잉여가치로 나누어지는데, 자본가는 노동자의 임금을 지불하고 잉여가치를 착취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한다는 것입니다.

 

스미스의 잉여가치 개념은 공장제 자본주의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이론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자본가들은 노동자의 노동력을 구매하여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노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반발하며 노동운동을 벌였지만, 공장제 자본주의는 점차 확산되었습니다.

 

공장제 자본주의의 확산 과정에서는 많은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장시간 노동을 강요받았고, 임금은 매우 낮았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19세기 이후 노동운동의 주요 동력이 되었습니다.

 

셰필드 시위란?

18세기 영국에서는 공장제 자본주의의 확산에 반발하는 노동자들의 시위가 빈번하게 일어났습니다. 그 중에서도 1793년 셰필드에서 일어난 셰필드 시위는 공장제 자본주의의 부당성을 전 세계에 알린 사건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셰필드 시위는 당시 영국에서 가장 큰 직물 공장인 셰필드 밀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주도했습니다.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환경과 낮은 임금에 반발하여 파업을 벌였습니다. 파업은 곧 폭력 시위로 번졌고, 경찰과 충돌하면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셰필드 시위는 공장제 자본주의의 부당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 노동운동은 더욱 활발해졌고, 노동자들의 권익 향상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었습니다.

 

참고 사이트:

경제역사와 관련지어서 잉여가치 개념을 중심으로 18세기 영국의 공장제 자본주의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잉여가치 개념의 등장은 공장제 자본주의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이론으로 사용되었지만, 공장제 자본주의의 부작용은 노동운동의 주요 동력이 되었습니다.

 

반응형